「일본 경제 30년 사」라는 책을 보면서 플라자 합의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플라자 합의에 대해 궁금한 점과 느낀 점을 정리하고자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플라자 합의(Plaza Agreement)
-플라자 합의 의미
-플라자 합의가 발생한 원인
-일본이 플라자 합의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던 이유
-결과 : 플라자합의 이후
플라자 합의(Plaza Agreement) 의미
플라자 합의는 1985년 9월 미국 뉴욕시티 플라자호텔에서 G5(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가 미국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외환시장 개입을 결정한 회의입니다. (달러화 강세를 약세로)
플라자 합의(Plaza Agreement)가 발생한 원인
1980년대 초 미국이 재정적자, 무역적자(쌍둥이 적자)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쌍둥이 적자를 개선하기 위해 플라자 합의를 하고자 하였습니다
일본이 플라자합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
일본은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정치적으로 저항할 방법이 없어서 받아들인 부분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그 당시 일본은 저평가된 엔화로 어마어마한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었습니다. 만약 일본이 플라자 합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면 다른 국가도 화폐를 자유롭게 조정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화폐전쟁을 촉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한 것들을 생각했기에 일본은 플라자 합의를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플라자합의 이후
플라자 합의로 인해 독일 마르크화는 1주일 만에 약 7%, 일본의 엔화는 8% 정도 평가절상되었고, 미국 달러 가치는 계속 떨어져서, 약 2년 후에는 30% 이상 평가절하되었습니다. 플라자 합의로 인해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을 맞이 했다는 말이 있지만 이것은 부분적으로 영향은 있었겠지만,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은 정부의 재정정책(1년 기간 안에 5% 금리 하락)이라고 생각됩니다. 저금리로 인해 돈은 주식과 부동산으로 유입되었고, 최종적으로 버블이 터져 장기불황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플라자 합의에 대해 정리하면서 정치, 경제, 외교는 서로 연결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서로 연결되었기에 정치, 경제, 외교 부분을 바라볼 때, 단순하게 한 면만 바라보면 안 되고, 복합적으로 인지를 하고 바라봐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저금리시대에 추천하는 사이다뱅크 계좌개설 & 체크카드까지 완벽정리 (0) | 2021.02.19 |
---|---|
은, 대체투자자산으로 괜찮을까?? (1) | 2020.10.16 |
댓글 영역